Kotlin6 반복문 for fun example() { val students = arrayListOf("Sam", "Kelly", "Tim") var sum1 : Int = 0 var sum2 : Int = 0 var sum3 : Int = 0 var sum4 : Int = 0 for(name in students) { println("${name}") // "Sam", "Kelly", "Tim" } for((index, name) in students.withIndex()){ println("${index}번째 학생 : ${name}") // 0번째 학생 : Sam, 1번째 학생 : Kelly, ... } for(i in 1..10){ sum1 += i } println(sum1) // 55 for(i in 1..10 .. 2022. 7. 22. ArrayList val a = arrayListOf() a.add(10) a.add(20) a[0] = 5 길이 조정 가능 (array와 차이점) 값 변경 가능 (List와 차이점) 2022. 7. 22. 조건문 if fun max1(a : Int, b : Int) : Int { if(a > b){ return a } else { return b } } fun max2(a : Int, b : Int) : Int = if(a > b) a else b max1과 max2는 같은 기능을 한다. Java를 비롯해 Kotlin은 삼항연산자가 없다. when fun checkNum(score : Int) { //리턴이 없을 때 when(score) { 1 -> println("score is 1") 2 -> println("score is 2") 3,4 -> println("score is 3 or 4") else -> println("I don't know") } //리턴이 있을 때 var b : Int = when(sc.. 2022. 7. 22. String Template Example fun main() { val name = "Youngjin" val lastName = "Song" println("My name is ${name}") // My name is Youngjin println("My name is ${name + lastName}") // My name is YoungjinSong println("This is \$7") // This is $7 } 2022. 7. 22. val vs var val val a : Int = 10 a = 5 //불가능 val은 value의 약자로 const와 같다. 한 번 할당을 하면 수정이 불가하다. var var a : Int = 10 a = 5 //가능 var는 variable의 약자로 val과 달리 한 번 할당한 후 수정이 가능하다. val과 var를 할당할 때 타입은 생략해도 무관하다. val a = 10 var a = 10 2022. 7. 22. 함수 기본 형태 fun 함수이름() : 리턴타입 {} Example 1 fun main() { helloWorld() // Hello World } fun helloWorld() : Unit { println("Hello World") } Unit은 void로 생략해도 무관하다. Example 2 fun main() { println(add(4, 5)) // 9 } fun add(a : Int, b : Int) : Int { return a + b } 파라미터 a와 b의 타입은 Int, 리턴 타입도 Int로 설정 2022. 7. 22. 이전 1 다음